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

사는 데만 그치지 않는다: 리뷰를 쓰면서 알게 된 소비의 의미 첫 리뷰는 내가 고마워서 썼다 ‘이건 진짜 좋다. 누군가에게 알려주고 싶다.’ 이런 마음으로 처음 리뷰를 썼던 날이 기억난다. 브랜드 측에 감사받기 위해서도, 포인트를 받기 위해서도 아니었다. 그저 내가 만족했기 때문이었다. 그 이후, 나는 소비할 때마다 리뷰를 쓰기로 결심했다. 단순히 좋고 나쁨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소비라는 행위를 한 번 더 곱씹는 과정으로서의 리뷰 작성이었다. 처음엔 귀찮기도 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한 줄, 두 줄 적다 보면 내가 왜 그 물건을 샀는지, 어떻게 사용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가 어땠는지를 스스로 돌아보게 된다. 결국 리뷰는 기억을 기록하는 방식이자, 내 소비 이력을 정리하는 일기가 됐다. 리뷰가 만든 소비 전의 ‘사전 점검’리뷰를 습관화하면서 바뀐 점은 단 하나, .. 2025. 5. 19.
현금 다이어트: 카드 없이 한 달 살기 해봤더니… 터치 한 번’의 무서움에서 벗어나다현대인의 소비는 너무 간편하다. 터치 한 번이면 결제 끝, 비밀번호조차 입력하지 않는 카드 결제는 마치 돈을 쓰는 감각조차 사라지게 만든다. 나 역시 그러했다. 하루에도 몇 번씩 카드를 긁었지만 정작 얼마를 썼는지 실감하지 못했다. 그러다 어느 날, “한 달만 현금으로만 살아보자”는 실험을 해보았다. 처음에는 매우 불편했다. 모바일 페이도 끄고, 카드도 지갑에서 빼버린 뒤, 딱 정해진 현금만 들고 다녔다. 습관적으로 무언가를 사려다가 ‘현금이 없네’ 하고 멈춘 적도 많았다. 그런데 그 순간부터, 내 소비에 대한 자각이 생기기 시작했다. 돈이 빠져나가는 실감이 손끝에서 전달되기 시작했다. 지출을 위해 지갑을 열고, 지폐를 꺼내고, 거스름돈을 챙기는 일련의 과정은 ‘나 지금.. 2025. 5. 19.
로컬에서 찾은 나만의 명품: 브랜드 의존 끊기 30일 실험기 시작은 ‘왜 이걸 비싸게 사지?’라는 질문에서 예전엔 브랜드 로고만 봐도 안심이 됐다. 익숙하고, 믿을 수 있고, 실패 확률이 적다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느 날 ‘과연 이 브랜드가 가격만큼의 가치를 주고 있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사한 제품을 로컬 브랜드에서 훨씬 저렴하게 판매하는 걸 보고, 의문이 생겼다. 이름값이 아닌 실질적 가치를 기준으로 소비를 해보자는 생각에, 브랜드 제품 대신 로컬 브랜드 제품만 사용해보기로 결심했다. 첫 시작은 생활용품이었다. 치약, 샴푸, 세제처럼 자주 쓰지만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품목부터 바꿔봤다. 지역 약국에서 판매하는 소형 업체 제품이나, 로컬 마켓에서 찾은 핸드메이드 상품을 사용하면서 의외로 놀라운 경험을 했다. ‘브랜드’가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제.. 2025. 5. 19.
한 달에 하루, 나만을 위해 쓰는 소비의 힘: 감정도 경제도 달라졌다 나를 위한 소비는 다르다: 의무가 아닌 기쁨한 달에 한 번, 그날만큼은 ‘나만을 위한 소비’를 한다. 이 소비는 평소처럼 물건을 사고 끝나는 지출이 아니다. 오직 내가 진심으로 원하고, 나에게 가치 있다고 느끼는 것에만 돈을 쓰는 날이다. 처음엔 단순히 “이번 달엔 내가 고생했으니 뭐라도 하나 사야지”라는 생각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이 습관이 정착되면서, 내 소비 기준과 감정 사용 방식에 큰 변화가 생겼다. 우리는 대부분의 소비를 의무적으로 한다. 생필품, 대중교통비, 식비, 업무 관련 비용 등 ‘써야 해서 쓰는 돈’이 대부분이다. 반면 나를 위한 소비는 기쁨이 기준이 되는 소비다. 단순히 욕망을 충족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정서와 취향, 내면의 필요를 돌아보며 행해지는 소비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책을.. 2025. 5. 18.
텀블러 하나로 시작된 소비 리셋: 나만의 철학이 된 작은 습관 하루 한 잔, 텀블러로 바꿨을 뿐인데 생긴 변화.- 처음 텀블러를 산 건 환경 때문도, 소비 철학 때문도 아니었다. 그저 어느 날 카페에서 ‘텀블러 가져오면 300원 할인’이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왔고, 귀엽고 실용적인 텀블러를 하나 갖고 싶었던 단순한 욕구였다. 그런데 그 텀블러 하나가 내 일상의 흐름, 소비 방식, 심지어 가치관까지 바꾸게 될 줄은 몰랐다. 텀블러를 들고 다니기 시작하면서 커피를 마시는 방식 자체가 달라졌다. 예전에는 집 앞 카페에 들러 습관처럼 커피를 주문하고, 일회용 컵에 담긴 음료를 아무 생각 없이 소비했다. 반면 텀블러를 들고 다니는 순간부터 나는 ‘오늘 마실 커피를 위해 텀블러를 챙겨야 한다’는 의식적인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은 사소하지만 내 소비를 ‘생각하게’ 만들.. 2025. 5. 18.
사소한 절약이 준 커다란 변화: 나만의 소비 리셋기 무의식적인 습관 하나를 멈추는 데서 시작됐다 아침에 집을 나서면 자연스럽게 편의점이나 저가 커피 전문점에 들러 아메리카노를 사는 게 나의 루틴이었다. 이유는 간단했다. "겨우 2,000원이니까." 하루의 시작을 카페인과 함께한다는 안정감, 손에 뭔가를 들고 있다는 만족감, 그리고 타인에게도 부지런해 보이는 그 작은 액션까지. 사실 커피가 특별히 맛있거나 필요해서라기보단, 그냥 익숙해서 사곤 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정말 이 커피가 필요한가? 나는 졸릴 때도 아닌데 왜 마시고 있을까? 목이 마를 땐 물이 더 필요하지 않나? 더 이상 '커피 한 잔쯤이야'라는 마음이 아니라, ‘이 커피가 오늘의 나에게 진짜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됐다. 습관이라는 게 얼마나 무섭냐면, 필요하지 않아도 익.. 2025. 5. 18.